결식 아동이 겪는 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는데 주목하는 ‘나비얌’

2024.07.01

“시스템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술이 쓰이는 거죠”

 결식 아동이 겪는 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는데 주목하는 ‘나비얌’

김하연(나눔비타민 대표) 인터뷰

 

 

 

인프라는 다 갖춰진 거 아니야? 🤔 그럼에도 여전히 배고픈 아이들이 있는 이유

 

우리나라는 지자체마다 결식 아동을 지원하는 정책을 갖추고 있습니다. 상세한 지원 방식은 지자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아동급식카드’와 같은 별도의 결제 수단을 지급하고 아이들이 이 카드를 식당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전체 예산도 적지 않고 지역 인프라와 결제 수단이 이미 다 갖춰진 것 같은데, 실제로도 29만 명의 결식 우려 아동이 그 서비스와 인프라를 온전히 누리고 있을까요?

 

나눔비타민의 김하연 대표는 대학 생활을 하며 아동 기관에서 꾸준히 봉사 활동을 해 왔습니다. 아이들을 매일 마주하며 일상의 작은 부분까지 가까이에서 보다보니, 아이들의 식사 문제가 눈에 띄었다고 합니다. 아이들에게 아동급식카드가 지급 되었지만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모르기도 하고, 아동급식카드 자체가 ‘가난의 낙인’이 되기도 해 사용법을 묻지조차 못하는 것이 한 켠의 현실이었습니다.

 

당시 경영학과 정보문화학을 공부하고 있던 김하연 대표는 기술을 활용해 이 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바로 들었다고 합니다.

 

 

기술은 사회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는데 쓰일 수 있습니다

 

“사회 복지와 사회 혁신은 다른 것 같아요. 지원을 하다가 그 지원 제도가 사라지면 임팩트도 끊기게 돼요. 여기에서 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무언가가 보였죠. 결국 중요한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만드느냐이고, 이런 고민의 방향 속에서 기술의 쓰임이 극대화 된다고 생각해요.”

 

2022년 가을 개발을 시작한 웹사이트가 그 첫걸음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식사할 수 있는 곳을 편하게 찾아보고 리뷰를 남기는 간단한 형태였는데,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등을 통해 더 알려지게 되고 리뷰도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더 많은 리뷰가 쌓인다면 더욱 유용할텐데…’라는 생각에 웹사이트를 더 키우기 시작했고, 지금은 9명이 일하는 소셜벤처로 성장했습니다. 1년 남짓한 시간 동안 여러 대회에도 수상했습니다. 대표적으로 2022년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고, 작년 사이드임팩트에서도 수상을 했습니다. 그리고 2024년 1월에는 4억원의 시드 투자 유치도 성공했습니다.

 

나비얌은 효율성, 접근성 차원에서 식사 나눔과 아이들의 식사 문제 양쪽을 체계적으로 해결해 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아이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싶어하는 기부자와 ‘착한 가게’들, 아동 수혜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고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거래 비용을 줄여나가며 편리성도 높이고 있습니다.

 

결식 아동을 위한 복지와 ‘착한 가게’의 식사 나눔을 모두 쿠폰화 하였고, 식사 나눔 정보도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식사를 나누고자 하는 사장님들이 구체적인 사용 조건(예: 한 달에 한 번 프라이드 치킨 나눔)을 명시하여 부담 없이 식사 나눔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가난의 낙인이 되었던 아동 급식 카드를 쓰는 대신에 쿠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니 당당하게 소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술 너머의 노력으로 시장 확장까지 꿈꾸는👐🏻 나눔비타민

기술이 사회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는 것의 근간 역할을 하고 있지만, 기술만 있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스템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직접 발로 뛰어 제휴 단체를 늘리고, 나비얌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나 제휴처에서 불편을 겪지 않게 하기 위해 CS도 열심히 하는 등 기술 너머의 노력도 컸습니다. 아이들이 나비얌 앱을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입점하는 사장님들의 편의를 섬세하게 고려하고 함께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나비얌은 우연히 발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T기술을 적용한 것에서 나아가 식사 나눔 시장의 여러 이해관계자를 잇는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중입니다.

 

 


 

‘나비얌’처럼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계신가요? 👀

사이드임팩트가 날개를 달아 드릴게요🪽

➡️ 사이드임팩트 지원 정보 확인하러 가기

Thumbnail Image

[사이드임팩트] 사이드프로젝트에 동력을 불어넣자!

세상을 바꾸는 수많은 아이디어. 작은 기술로 더 많은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겠다는 마음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 대학생들이 모여 만들어본 애플리케이션, 직장인들이 잠을 줄여가며 만들어 낸 새로운 플랫폼.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과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비전을 가진 브라이언임팩트는 이들의 꿈에 집중해 왔습니다. 그렇게 ‘사이드임팩트’ 프로그램은 시작되었습니다. 사이드임팩트는 본업 외의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작은 시도가 사회에 큰 ‘임팩트’로 연결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합니다. 본업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개인의 아이디어를 그려보는 경험, 그 경험에 더 큰 응원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싶었습니다. 단순히 아이디어 수준에서 멈출 수 있었던 프로젝트나, 이미 공모전이나 해커톤에서 수상한 적이 있지만 더이상 지원이 없어 중단될 수도 있던 프로젝트에 동력을 불어 넣어 지속가능한 변화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025.03.31
Thumbnail Image

더 넓은 AI 연구의 길, 세상에 임팩트를 더하다 (페이퍼샵: 브라이언임팩트 연구지원사업)

페이퍼샵은 연구를 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다양한 주제의 AI 연구를 소속, 전공과 관련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이언임팩트의 연구지원 사업입니다. 브라이언임팩트와 모두의 연구소는 페이퍼샵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기존의 연구 생태계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다양한 배경과 분야의 연구자들이 제한 없이 참여할 것을 장려합니다.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에 마음껏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2025.03.24
Thumbnail Image

DiSEPA 연구팀의 2024 연구성과 공유회 – 보이지 않던 마음의 흔적까지 담아낸 연구의 힘

지난 2월 21일, 서울 새절역 근처 인권재단 사람의 공간 '스테이션 사람'에서는 발달장애인과 발달장애인 부모, 지체장애인의 조기 노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 서울대 장애와 건강 연구팀 DiSEPA(Disability, Social Environment, and Premature Aging)의 2024 연구성과 공유회가 열렸습니다. 브라이언임팩트가 함께한 이 특별한 자리에는 약 40여 명의 관계자와 관심 있는 분들이 참석해 의미 있는 연구 성과를 함께 나누었습니다. 이 연구성과 공유회는 한국 사회에서 좀처럼 조명되지 않았던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지체장애인의 일상과 마음의 흔적을 생생하게 담아냈습니다.
2025.03.04
Thumbnail Image

세상을 선하게 바꾸는 힘, <2024년 법제정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브라이언임팩트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 및 정책적 변화를 연구하고, 실행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는 법제정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환경 보호, 노동자 및 활동가의 안전과 지원, 그리고 정치인 육성 등 여러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우리 사회가 변화를 상상하고 그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2025.02.21
Thumbnail Image

브라이언임팩트, 임팩트그라운드 사업 2024년 성과 스케치

임팩트그라운드는 사회문제를 탁월한 솔루션으로 풀어내는 혁신조직을 지원하는 브라이언임팩트 재단의 사업입니다. 지난 11월 21일에 열린 연말공유모임에서 혁신조직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 해의 성과들을 풀어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임팩트그라운드 위에 2024년 한 해 동안 또 어떤 아름드리 나무들이 자랐는지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