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넓은 AI 연구의 길, 세상에 임팩트를 더하다 (페이퍼샵: 브라이언임팩트 연구지원사업)

2025.03.24

AI 연구, 더 넓은 가능성을 찾아서

 

AI 기술은 우리 사회 여러 분야에 급속히 확산되면서 의료, 환경, 교육, 산업과 같은 삶에서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실험실 수준에서 오랫동안 머물렀던 AI 연구들이 다양하게 상용화 됨에 따라,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 연구들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에 이전보다 많은 AI 연구가 진행된다고 해도, 더 다양한 가치를 보여주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는 장담하지 못합니다. 즉각적인 성과가 기대되는 특정 분야나 경제적으로 효용이 높은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근본적이고 다양한 주제의 연구나, 사회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창의적인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언임팩트는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 AI 연구가 더욱 다양한 주제와 분야에서 이루어지도록 지원합니다. AI 연구가 궁극적으로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도록, 모두의 연구소의 페이퍼샵 프로그램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페이퍼샵은 무엇인가요?

 

 

페이퍼샵은 연구를 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다양한 주제의 AI 연구를 소속, 전공과 관련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이언임팩트의 연구지원 사업입니다.

브라이언임팩트와 모두의 연구소는 페이퍼샵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기존의 연구 생태계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다양한 배경과 분야의 연구자들이 제한 없이 참여할 것을 장려합니다.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에 마음껏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페이퍼샵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모두의연구소 LAB에서는 물리적·가상적 연구 환경 제공, 고성능 GPU 서버, 전문 멘토링 및 기술적 컨설팅 등 다방면의 실질적 지원을 통해 연구자들이 제약 없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페이퍼샵은 모두의 연구소 LAB에서 연구하고 작성한 논문이 국제 학회 및 저널에 게재되는 경우, 편당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논문 지원 제도이며, 해외 학회 참여 또한 지원합니다.

 

2023년부터 시작되어 햇수로 3년 째 지원 중인 페이퍼샵과 함께 연구원들의 연구도 그 깊이와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후속 과제를 진행합니다. 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주변 주제로 확장해 나가면서, 한번도 도전한 적 없었던 해외 학회나 저널에 도전하는 사례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 큰 도전’을 통해 그 전에는 보지 못했던 세상을 보게 되고 꾸준하게 연구를 해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다양한 국제 학회에서 입증된 페이퍼샵의 성과와 사회적 임팩트

 

 

페이퍼샵을 통해 지원받은 연구 팀들은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회인 CVPR 2024에 다수 채택되는 것뿐만 아니라, ICCV, ECCV 등 다양한 국제 학술 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하며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과거 유수의 전문 기관들만 성취할 수 있었던 성과가, 일반 연구자들로 구성된 페이퍼샵 연구진들을 통해서도 이루어졌습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총 32개의 논문이 페이퍼샵을 통해 국제 학회에 등재되었으며, 직접 학회에 다녀온 연구원들의 소식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모두팝에서 <한국어 언어모델 “잘” 평가하기> 발표 중인 손규진님. 모두의 연구소 블로그(https://modulabs.co.kr/blog/papershop-haeraelab)

 

페이퍼샵이 지원한 AI 융합 연구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의료/헬스케어, 자율주행, 교육, 언어/문화, 환경/사회 등으로 매우 다양했습니다. 페이퍼샵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배경의 연구자들이 AI 연구에 참여하며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언어 모델 평가 방법을 위한 연구들은 물론이고, 맞춤형 교육을 위한 AI 연구, AI Safety 관련 연구, 공공 서비스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AI 연구들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for Social Impact

 

페이퍼샵이 지원한 논문들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페이퍼샵에 지원하는 방법은 모두의연구소, 페이퍼샵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브라이언임팩트는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와 분야의 AI 연구를 지원하면서,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이고 실질적인 임팩트를 창출하기를 기대합니다. 페이퍼샵이 이러한 연구의 초석으로 자리 잡아, 더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AI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humbnail Image

[시민과학] 함께하는 시민과학, 따스한 지구를 꿈꾸다

[동아사이언스 시민과학] 지난 4월 12일에도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에 천여 명의 어린 과학자와 가족, 연구자들이 모여 '지구사랑탐사대 13기 발대식'을 가졌습니다. 자연을 사랑하고, 환경을 사랑하고, 지구를 사랑하고, 주변의 가족과 동료를 사랑하는 시민 과학자들과 그들의 활동을 지난 2년 동안 함께 지켜보며 재단도 즐겁고 배운 점이 많았습니다. 뜻깊은 발대식 자리에서 시간을 할애하여 재단에 감사패를 전달주신 동아사이언스에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2025.04.21
Thumbnail Image

[사단법인 점프] 임팩트그라운드를 딛고, 크게 점프하다

약 10년 전, 지역아동센터 하나하나를 직접 찾아다니면서 새로운 교육 봉사 모델을 만들어 나간 사람들이 있습니다. 단순한 자원봉사가 아니라 청소년과 대학생, 사회인을 연결하는 장기 멘토링 구조였죠. 지금은 '점프(JUMP)'라는 이름으로, 전국을 넘고 국경을 넘었습니다. 2022년부터는 브라이언임팩트의 '임팩트그라운드'를 통해, 더 실험적이고 깊이 있는 도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점프가 오랫동안 고민해온 '지속가능성'과 '확산'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다음 단계의 여정이 시작된 것이죠. 더 큰 점프를 계획하는 사단법인 점프의 김결 팀장, 송수니 팀장을 만나보았습니다.
2025.04.14
Thumbnail Image

[박상원 펠로우] 약국 문을 넘은 마을약사

[브라이언 펠로우 시즌4] 늘픔가치는 이제 약국을 넘어 지역을 돌보고 있습니다. 박상원 펠로우는 브라이언 펠로우로 선정된 이후, 더 많은 실험과 시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약사의 역할을 재정의하면서, 지역 주민의 삶에 건강 돌봄이 정착되는 사회로 조금씩 더 다가가고 있습니다. 더 많은 마을약사와 함께, 더 넓은 지역으로 확장될 늘픔가치의 꿈을 응원합니다.
2025.04.07
Thumbnail Image

[사이드임팩트] 사이드프로젝트에 동력을 불어넣자!

세상을 바꾸는 수많은 아이디어. 작은 기술로 더 많은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겠다는 마음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 대학생들이 모여 만들어본 애플리케이션, 직장인들이 잠을 줄여가며 만들어 낸 새로운 플랫폼.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과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비전을 가진 브라이언임팩트는 이들의 꿈에 집중해 왔습니다. 그렇게 ‘사이드임팩트’ 프로그램은 시작되었습니다. 사이드임팩트는 본업 외의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작은 시도가 사회에 큰 ‘임팩트’로 연결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합니다. 본업에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개인의 아이디어를 그려보는 경험, 그 경험에 더 큰 응원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싶었습니다. 단순히 아이디어 수준에서 멈출 수 있었던 프로젝트나, 이미 공모전이나 해커톤에서 수상한 적이 있지만 더이상 지원이 없어 중단될 수도 있던 프로젝트에 동력을 불어 넣어 지속가능한 변화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025.03.31
Thumbnail Image

더 넓은 AI 연구의 길, 세상에 임팩트를 더하다 (페이퍼샵: 브라이언임팩트 연구지원사업)

페이퍼샵은 연구를 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다양한 주제의 AI 연구를 소속, 전공과 관련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브라이언임팩트의 연구지원 사업입니다. 브라이언임팩트와 모두의 연구소는 페이퍼샵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기존의 연구 생태계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다양한 배경과 분야의 연구자들이 제한 없이 참여할 것을 장려합니다.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받기 어려운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에 마음껏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2025.03.24